본문 바로가기
정보

강아지와 고양이는 정말 색맹일까? 구별하기 쉬운 색 추천

by APEIRON 2025. 2. 1.
반응형

파란 눈을 가진 고양이
파란 눈을 가진 고양이

 

강아지와 고양이는 정말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색맹일까요? 반려동물의 시각 특성을 분석하고, 강아지와 고양이가 인식할 수 있는 색상과 시각적 한계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강아지는 정말 색맹일까?

흔히 강아지는 색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는 완전한 색맹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강아지는 일부 색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빨강, 초록, 파랑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삼색성 시각(Trichromatic Vision)을 가지고 있다면, 강아지는 이보다 제한적인 이색성 시각(Dichromatic Vis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색성 시각이란 두 가지 색을 구별할 수 있다는 의미로, 강아지는 파란색과 노란색 계열의 색상은 구별할 수 있지만, 빨강과 초록 계열의 색상은 구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강아지가 빨간 공을 보면 우리가 보는 선명한 빨간색이 아니라, 갈색이나 회색처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강아지는 인간과 다른 망막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망막에는 빛을 감지하는 두 가지 종류의 세포가 있는데,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Cone Cells)와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간상세포(Rod Cells)가 있습니다. 강아지는 원추세포의 수가 적어 색을 다양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반면, 간상세포의 수가 많아 어두운 환경에서도 시각을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 때문에 강아지는 밤에도 비교적 잘 볼 수 있고,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능력이 우수합니다.

강아지의 이러한 시각적 특징은 본래 사냥을 할 때 적합하도록 진화한 결과입니다. 늑대의 후손인 강아지는 빠르게 움직이는 작은 동물을 사냥할 때, 색을 구별하기보다는 움직임과 대비를 더 중요하게 인식했습니다. 오늘날에도 강아지는 색보다는 사물의 명암 차이와 움직임을 더 정확하게 감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아지가 색을 볼 수 있는 능력은 제한적이지만, 훈련을 할 때 이를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합니다. 빨간 공보다 파란 공을 사용하면 강아지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의 시력은 인간보다 다소 흐릿하게 보이는 경향이 있어, 크기가 작은 사물보다는 움직이는 물체를 더 쉽게 구별합니다.

고양이는 색을 어떻게 볼까?

고양이의 시각은 강아지와 다를까요? 고양이 역시 인간과는 다른 방식으로 색을 인식하지만, 강아지보다는 조금 더 다양한 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파랑과 녹색 계열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빨강과 주황 계열의 색상은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고양이는 인간처럼 삼색성 시각을 가지고 있지만, 감지하는 색상의 범위가 다릅니다. 사람은 빨강, 초록, 파랑을 뚜렷하게 볼 수 있지만, 고양이는 빨간색을 감지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빨간색이 회색이나 갈색처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양이는 색을 구별하는 능력 보다야 간 시력과 동체 시력이 더욱 뛰어난 동물입니다. 고양이의 눈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는 타페텀(Tapetum)이라는 층을 가지고 있어, 아주 적은 빛만으로도 사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은 야행성 동물인 고양이가 밤에도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진화한 결과입니다.

고양이의 시각적 특성 중 하나는 움직이는 물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입니다. 즉, 정적인 물체보다는 움직이는 물체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가 정지된 사물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살짝 움직이면 갑자기 사냥 본능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입니다.

고양이의 시각을 고려할 때, 장난감을 선택할 때는 파랑이나 녹색 계열의 장난감을 고르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움직임을 강조하는 장난감이나 빛을 반사하는 물체를 활용하면 고양이의 흥미를 더 쉽게 끌어낼 수 있습니다.

강아지, 고양이가 구별하기 쉬운 색은?

강아지와 고양이 모두 인간과 비교하면 색을 인식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지만, 두 동물 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강아지는 파랑과 노랑을 비교적 잘 인식하지만, 고양이는 파랑과 녹색을 더 잘 구별합니다. 따라서 같은 빨간색 장난감을 보여줬을 때 강아지는 회색빛으로, 고양이는 갈색빛으로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아지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난 반면, 고양이는 야간 시력이 더욱 발달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반려동물에게 장난감을 줄 때에는 강아지에게는 파란색이나 노란색 장난감, 고양이에게는 파란색이나 녹색 장난감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와 고양이는 색을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는 색맹은 아니지만, 인간과는 다른 방식으로 색을 구별합니다. 강아지는 파랑과 노랑, 고양이는파랑과 녹색을 더 잘 인식하며, 각각의 시각적 특징이 다릅니다.

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할 때는 색 구별이 쉬운 장난감이나 훈련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반려동물의 시각적인 한계를 이해하고 환경을 조성해 주면 더욱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